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3만원부터 15만원까지

by 육아맘쉼표 육아 2025. 9. 7.

 

3만원부터 15만원까지, 현실적인 기준 정리해드려요

결혼식 초대장을 받았을 때,
반가움보다 먼저 드는 생각…

“이번엔 축의금 얼마 내야 하지?”

한때는 무조건 5만 원 봉투 넣고 갔던 시절도 있었지만,
요즘은 정말 그게 쉽지 않죠.

  • 물가가 예전 같지 않고,
  • 인간관계도 복잡해지고,
  • 심지어 김영란법까지 생각해야 하니까요.

저 역시 한동안 축의금 봉투 앞에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이 친구랑 얼마나 친했더라?’
‘식대는 요즘 얼마 하지?’
이런 고민, 여러분도 한 번쯤 해보셨죠?

그래서 오늘은!
2025년 현실에 맞는 축의금 기준
3만원, 5만원, 10만원, 15만원 이상으로 나눠
정리해드릴게요.


📌 2025년 축의금 금액별 기준

 

금액 추천 상황 설명

3만원 식장 불참 / 연락 끊긴 지인 아주 가벼운 관계, 조용히 축하만 전하고 싶을 때
5만원 기본값 / 직장 동료 현재 직장 동료, 가끔 연락하는 친구 등
10만원 친한 친구 / 가까운 동료 자주 연락하거나 축하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을 때
15만원 이상 가족 / 절친 / 부모님 대리 참석 마음을 더 표현하고 싶은 특별한 관계일 때

🎯 이렇게 정해보세요!

 

3만원

  • 오래전 지인, 연락 끊긴 사람
  • 식장 참석 없이 봉투만 전달하는 경우
  • 예의는 차리고 싶지만 부담은 주기 싫을 때

5만원

  • 가장 일반적이고 무난한 금액
  • 현재 회사 동료, 동창, 가끔 연락하는 친구
  • 식사도 하고, 인사도 나눌 사이

10만원

  • 친한 친구, 자주 보는 사람
  • 평소 신경 써주고 싶은 관계
  • 요즘 식대가 6~7만원 이상인 경우 많아 ‘식대 + 마음’의 조합

15만원 이상

  • 가족, 절친, 부모님 대신 참석
  • 마음을 더 담고 싶은 특별한 관계
  • 상황과 본인의 여유에 따라 선택

💡 축의금 정할 때 고려할 것 3가지

 

1. 식대 수준

  • 요즘 웨딩홀 식대는 평균 1인당 6~7만 원 정도.
  • 5만 원은 살짝 민망할 수 있어요.
    → 이럴 땐 10만원이 심리적으로도 적당합니다.

2. 김영란법 주의

  • 공무원, 교사, 공공기관 종사자에게는
    축의금 10만 원 이하로 제한되어 있어요.
  • 친하더라도 법적으로 초과 금액은 불가합니다.

3. 내 경제 상황

  • 가장 중요한 건 무리하지 않는 것!
  • 가까운 사이라도 본인의 상황에 맞춰서
    정하는 게 예의와 현실 사이 균형입니다.

📌 한눈에 보는 축의금 결정 가이드

 

관계 추천 금액 참고사항

예전 지인, 식장 불참 3만원 연락 드문 사이
직장 동료, 지인 5만원 가장 보편적인 금액
친한 친구, 가까운 동료 10만원 식대 + 마음 표현
가족, 절친, 부모님 대리 15만원 이상 각별한 관계일 경우

✅ 마무리하며

 

결혼식 축의금은 여전히 민감한 주제예요.
그렇지만 이렇게 기준을 세워두면
매번 고민하지 않고도 센스 있게 축의금을 정할 수 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진심 어린 축하의 마음이라는 점!
적당한 금액에 나의 마음을 담아
예의 바른 축하를 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