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아빠도 육아의 주체로 당당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국가 역시 "아빠 육아 참여 장려"를 위해
지원금 정책을 대폭 강화했는데요,
그렇다면 실제로 아빠가 육아휴직을 썼을 때,
한 달에 얼마를 받을 수 있고,
최대 몇 개월까지 지원되는지,
정확하게 확인해보겠습니다.
✅ 기본 육아휴직 급여 제도 (2025년 기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모든 부모는
고용보험에서 육아휴직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구간 지급 비율 월 최대 금액(상한)
1~3개월 | 통상임금의 100% | 250만 원 |
4~6개월 | 통상임금의 100% | 200만 원 |
7개월~12개월 | 통상임금의 80% | 160만 원 |
※ 통상임금이란?
기본급 + 고정 수당 등을 포함한 월급 기준입니다.
💡 예시: 통상임금이 350만 원인 아빠라면
- 1~3개월: 250만 원(상한 초과로 깎임)
- 4~6개월: 200만 원
- 7~12개월: 160만 원
👨👩👧 부모 함께 쓰면?
💥 “6+6 육아휴직제” 급여 최대 인상!
2025년에도 부모가 순차 또는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각자의 첫 6개월 급여 상한이 점진적으로 인상됩니다.
개월 월 상한액 (부모 각각)
1개월 | 250만 원 |
2개월 | 300만 원 |
3개월 | 350만 원 |
4개월 | 400만 원 |
5개월 | 450만 원 |
6개월 | 450만 원 |
7개월~ | 160만 원 (기본 규정) |
📌 조건: 자녀가 생후 18개월 이내여야 하고,
엄마와 아빠가 각각 육아휴직을 신청해야 합니다.
→ 동시든, 순차든 상관없이 적용!
👨👦 한부모 아빠는 더 받을 수 있어요
한부모 가정의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쓸 경우,
첫 3개월간 월 최대 300만 원 상한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1~3개월: 통상임금 100%, 상한 300만 원
- 4개월 이후: 일반 규정과 동일 적용
📅 총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계산 예시)
예시 1: 일반 근로자 아빠 (통상임금 300만 원)
- 1~3개월: 300 × 100% = 300만 원 → 상한 250만 원 적용
- 4~6개월: 300만 원 → 상한 200만 원
- 7~12개월: 300 × 80% = 240만 원 → 상한 160만 원
💰 총 수령액:
(250×3) + (200×3) + (160×6) = 2,550만 원
예시 2: 6+6 특례로 사용하는 경우 (각자 첫 6개월)
- 상한액 인상 덕분에 같은 통상임금이라도 더 많이 받습니다!
💰 총 수령액(6개월만 기준):
1개월 250 + 2개월 300 + 3개월 350 + 4개월 400 + 5개월 450 + 6개월 450 =
총 2,200만 원
(※ 부부 모두 적용 가능 → 두 사람 합산 최대 4,400만 원 수령 가능)
💡 Q&A – 자주 묻는 질문
Q1. 꼭 엄마가 먼저 써야 6+6 특례가 되나요?
→ 아니요. 아빠가 먼저 써도 되고, 순차나 동시 모두 가능해요.
Q2. 급여는 언제 들어오나요?
→ 육아휴직 시작 1개월 이후부터 신청 가능하며,
신청 후 약 1~2주 후 입금됩니다.
Q3. 월급 받는 중에 부업하면 안 되나요?
→ 월 150만 원 이상 소득 or 주 15시간 이상 근로 시 급여 제한됩니다.
꼭 사전 신고하세요!
📌 마무리 정리
- 💼 2025년 아빠 육아휴직 급여, 첫 3개월은 통상임금 100% (상한 250만 원)
- 👨👩👧👦 6+6 육아휴직제 활용 시 → 상한 450만 원까지 인상!
- 👨👦 한부모 아빠는 상한 300만 원
- 🧾 급여 신청은 고용24 온라인, 시작일 1개월 후부터 가능
- 📆 육아휴직은 최대 12개월(분할 최대 3회)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