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보내기 전 꼭 알아야 할 정부 교육비 지원 정책은?
3~5세 유아를 둔 부모님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유치원 학비 지원입니다. 국공립이든 사립이든 상관없이 모든 계층에 적용되며, 누리과정에 따라 공통 교육을 받는 아이에게 매월 교육비와 방과 후 과정비가 지급됩니다. 신청 방법, 금액, 유의사항 등 모든 내용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 안내)
지원 대상은 만 3세부터 5세 사이의 유아이며, 국공립·사립 구분 없이 유치원에 다니고 ‘누리과정’이라는 공통 교육과정을 이수 중인 경우 해당됩니다. 보호자의 소득 수준과는 무관하게 전 계층이 동일한 혜택을 받습니다.
또한, 1~2월생으로 조기 입학한 유아도 포함되며, 유아의 지원 기간은 최대 3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취학 유예를 하더라도 3년 이상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지원 금액 요약)
2025년부터는 기존 월 지원금 외에 4~5세 유아에 대해 학비가 매월 5만 원 추가 지원됩니다. 국공립과 사립에 따라 금액 차이가 있으며, 방과 후 과정비도 별도로 지급됩니다.
구분 교육비(월) 방과 후 과정비(월)
국공립 유치원 | 10만 원 → 15만 원(추가지원 포함) | 5만 원 |
사립 유치원 | 28만 원 → 33만 원(추가지원 포함) | 7만 원 |
※ 유아가 가정양육수당 또는 어린이집 보육료를 동시에 받는 경우, 중복 지원은 불가합니다.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학비 지원은 반드시 보호자의 신청이 있어야만 지급되며, 기관 변경 시에도 자격 신청 누락이 있으면 지원되지 않습니다. 신청은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가능합니다.
신청 방법 접수처
온라인 | 복지로(www.bokjiro.go.kr) |
방문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지원이 누락될 경우, 해당 기간의 자부담 비용은 소급하여 받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신청 여부를 재확인해야 합니다.
꼭 확인해야 할 유의사항
지원금이 자동으로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보호자가 서비스를 신청해야만 효력이 발생하므로, 입학 시점에 바로 신청을 마쳐야 합니다.
또한, 기관을 옮길 경우에도 반드시 다시 신청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자부담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기간은 ‘3년’을 넘을 수 없으며, 유아가 만 5세가 되었을 때 더 이상 지원이 불가한 점도 유념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정리
질문 답변
어린이집 다니는 중인데 유치원 신청도 가능한가요? | 아니요, 중복 지급 불가합니다 |
유치원 옮기면 다시 신청해야 하나요? | 예, 자격 신청을 다시 해야 합니다 |
2월생인데 조기 입학하면 지원되나요? | 예, 3세반 입학 시 지원됩니다 |
상세 문의는 어디로?
궁금한 점은 다음 기관을 통해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79에듀콜(☎1544-0079)
e-유치원: www.childschool.go.kr
유아나이스: https://parents.neis.go.kr/
아이의 첫 교육, 정부의 든든한 지원과 함께 시작해보세요. 작은 신청 하나로 매달 수십만 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